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통 칼리파 시대

덤프버전 :




정통 칼리파 시대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각주]























조지아의 역사
[ 펼치기 · 접기 ]






라쉬둔 칼리파국
اَلْخِلَافَةُ ٱلرَّاشِدَةُ
al-Khilāfah ar-Rāšidah
파일:800px-Rashidun654wVassal.png
우스만 재위기의 최대 강역[1]
632 ~ 661
성립 이전멸망 이후
동로마 제국우마이야 왕조
사산 왕조
위치서아시아, 아라비아 반도, 북아프리카, 이베리아 반도
수도메디나 (632년 ~ 656년)
쿠파 (656년 ~ 661년)
정치체제신권 정치, 선거군주제
국가원수칼리파
역대 칼리파아부 바크르
우마르
우스만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
면적6,400,000km² (655년)
종교이슬람
통화디나르 · 디르함

1. 개요
2. 성장과 팽창
3. 정치
4. 군사
5. 역대 칼리파



1. 개요[편집]


라쉬둔 칼리파 시대[2]이슬람의 초기 성립 시기, 즉 예언자 무함마드를 계승한 4명의 정통 칼리파[3]가 다스린 이슬람 제국의 시대를 가리킨다. 정통 칼리파 시대는 이슬람 세력을 크게 확장하여, 아라비아 반도를 중심으로 이란 고원에서 북아프리카까지 넓은 영역을 관할했다. 그러나 내전이 일어나고, 제4대 칼리파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가 암살당하게 되면서 결국 정통 칼리파 시대는 막을 내리게 된다. 그 후에는 무아위야 1세가 칼리파가 되어 첫 세습 왕조인 우마이야 왕조의 시대가 열린다.


2. 성장과 팽창[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이슬람/정복#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정통 칼리파 시대의 이슬람 제국중동 역사상 최고의 정복 국가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급격한 팽창과 성장을 이루었다. 정통 칼리파 시대가 끝날 무렵, 이슬람 제국의 영토는 이미 아라비아 반도에 메소포타미아(이라크), 이집트, 페르시아(이란), 레반트, 리비아를 아우르는 초대형 제국이라 할 만큼 성장했으며, 이들 영토는 훗날의 우마이야 왕조가 추가로 확장을 한 이후에도 이슬람 세계의 중심부로서 기능했다. 여기에 맞먹을 정도의 팽창을 이룬 중동의 제국들은 아케메네스 왕조오스만 제국 정도를 빼면 전무하며, 후대의 우마이야 왕조가 정복한 영토까지 합치면 중동 역사상 최대의 제국이었다고 할 수 있다.


3. 정치[편집]


이 시대는 선거군주제 국가이기도 하다. 애초에 초대 칼리파인 아부 바크르는 예언자 무함마드가 죽은 후 이슬람 공동체에 의해 선출된 칼리파이다.[4] 그런 만큼 이 시기의 정치 역시 무슬림 공동체 간의 협의와 합의의 원칙에 기반을 두고 이루어졌다.

다만 가톨릭교황이나 신성 로마 제국황제처럼 안정적으로 이어진건 아니다. 실제로 정통 칼리파 시대는 30년도 못가서 제 4대 칼리파인 알리의 암살로 끝나기도 했으려니와 초대 칼리파인 아부 바크르가 선출되었을 때부터가 혈통으로 정할지 말지를 놓고, 논쟁이 많았는데 애초 부족사회가 일반적이었던 아라비아 반도에서 탄생한 배경상 안정적으로 선거군주제가 이어지는 것은 무리였을 것이다. 하지만 이슬람적으로 보면 의미가 있는데 이슬람교에서 예언자는 혈통이 아닌 알라(하느님)의 선택에 달렸다. 예언자가 알라의 선택에 달린 만큼 그 후계자인 칼리파 또한 혈연으로 이어지지 않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하고, 실제로 무함마드의 후계자감으로 여겨지던 알리가 아부 바크르에게 밀려난 것도 이 때문이었다. 허나 이런 분위기도 잠시 동안의 일이었으며, 혈연에 따라 후계자를 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무함마드 사후부터 있었다. 정작 처음에는 혈연에 따라 정하지 않았으면서 제2대 칼리파인 우마르 시대부터는 서서히 이슬람도 세속화되어 그 결과 우마르가 죽기 직전, 주변 인물들이 다음 후계자로 우마르의 아들를 삼을 것을 권해 우마르가 분노하게 된다. 특히 제3대 칼리파인 우스만이 칼리파가 된 것도 세속화의 상징이다. 우스만은 나름대로 이슬람에서 괜찮은 지위에 있었지만 지위에 비해 무함마드 생전이나 사후에나 이슬람의 발전에 기여한 바는 작았다. 그럼에도 그가 칼리프가 될 수 있었던 데는 결정권을 가지고 있었던 슈라 집단이 초기 이슬람의 순수성을 내세운 알리보다 자신들처럼 상류층 출신에 입장이 비슷한 우스만을 더 선호했기 때문이었다. 결국 이런 식으로 순수성 VS 세속화 및 칼리파 계승 방식을 놓고 논쟁을 벌인 것은 이슬람교수니파시아파로 분리되는 이유 중 하나가 되었다.[5]


4. 군사[편집]


정통 칼리파 시대 이슬람 세력의 확장 원동력인 군사력은 주적이었던 사산 왕조 페르시아와는 정반대로 막강한 중장보병과 경기병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들은 대개 메카메디나, 타이프를 중심으로 징집되었으며 오로지 무슬림만이 입대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외에 확장 과정에서 개종한 정복지의 주민들이 무슬림군으로 입대하기도 했으며, 이들은 정통 칼리파 시대 이후, 우마이야 왕조 시대에도 제국 군사력의 중추가 되었다.

중동의 제국들이 대부분 중무장 보병을 육성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었던 것과 달리[6], 무슬림 군대는 중장보병을 주축으로 한 보병전술을 주로 사용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들은 체인메일과 장검, 장창 등으로 무장했으며 궁수들의 사격과 기병대 돌격의 보조를 받아 돌격전을 수행하기도 했고, 궁수들의 사격을 보조하여 이들에게 적병들이 접근하는 것을 막는 탱커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경기병 역시 무슬림 군대의 특징 중 하나였다. 동방 국가들의 특징이었던 카타프락토이[7]는 없었다. 초기에야 동방 제국들과 같은 군사 귀족을 주축으로 하는 봉건 제도의 전통이 없었으니 당연했겠지만, 거대 제국을 일구고 나서도 한동안은 중무장 기병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아무래도 중장기병을 주력으로 했던 사산 왕조동로마 제국이 훨씬 질낮은 아랍 군대의 경기병 전술에 속절없이 털려나갔으니, 중장기병의 중요성을 느끼지 못한 것도 당연할 것이다. 무슬림 군대가 비로소 중무장 기병의 장점을 깨닫고 이를 대대적으로 도입하는 시기는 수백년이 지난 십자군 전쟁에서 유럽의 기사들을 접하고 나서부터였다.

무슬림들의 경기병 전술은 당대에 보기 힘든 군사적 혁신으로 전쟁사에서 가장 성공적인 기병 전술 중 하나로 손꼽힌다. 경기병이긴 하지만 이들은 이전 중동 군대식의 기마궁수나 투창병과 같은 원거리 기병이 아닌, 검과 기병창을 들고 근접전을 수행하는 돌격기병들이었다. 이는 주로 마갑을 입힌 카타프락토이들이 돌격전을 수행했던 사산 왕조나 동로마와는 구별되는 특징이었으며, 이들과 중보병진의 적절한 공조가 무슬림 군대의 주 운용 방식이었다. 이들은 특유의 기동성을 이용해 적의 측 • 후면 등을 공격하는데 능했으며. 동시기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던 카타프락토이들과 달리, 무슬림의 경기병들은 육성에 비교적 힘을 덜 들이고도 보다 빠른 기동성으로 적의 측 • 후방을 유린함으로서 경기병으로도 충분한 군사적 성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경기병대 중에서도 툴리앗 무타하리카(طليعة متحركة), 즉 기동 근위대는 무슬림 군대의 최정예 기병대로서 수많은 전공을 세운 정복 전쟁의 주역이었다.

유목민족인 아랍인들의 군대답지 않게[8] 기마궁수들은 전통적으로 존재하지 않았으며, 모든 경기병들은 근접전만을 수행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아랍 유목민들에게 기마궁수로서의 전통이 없었던 것에 기인한다. 기마궁수 자체가 애초에 훈련만으로 양성될 수 있는 병과가 아니고, 역사적으로 기마궁수를 운용한 문화는 처음부터 기마궁수의 풍습이 있어서 자연스럽게 군대의 주력 전술이 기마궁수가 되었던 경우이다. 비록 무슬림 군대는 후대에 정복전을 거치면서 기마궁수들을 군 편제로 받아들이게 되지만, 대부분은 주로 페르시아를 정복하면서 받아들인 현지 출신자들이나 이슬람권으로 유입된 튀르크 계열 유목민들이었다.


5. 역대 칼리파[편집]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정통 칼리파
제2대
정통 칼리파
제3대
정통 칼리파
제4대
정통 칼리파
아부 바크르우마르우스만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
제5대
정통 칼리파
1
제6대
우마이야 왕조
제7대
우마이야 왕조
제8대
우마이야 왕조
하산 이븐 알리무아위야 1세야지드 1세무아위야 2세
제9대
우마이야 왕조
제10대
우마이야 왕조
제11대
우마이야 왕조
제12대
우마이야 왕조
마르완 1세아브드 알 말리크왈리드 1세술라이만
제13대
우마이야 왕조
제14대
우마이야 왕조
제15대
우마이야 왕조
제16대
우마이야 왕조
우마르 2세야지드 2세히샴왈리드 2세
제17대
우마이야 왕조
제18대
우마이야 왕조
제19대
우마이야 왕조
제20대
아바스 왕조
야지드 3세이브라힘 이븐 알 왈리드마르완 2세아부 알 아바스
제21대
아바스 왕조
제22대
아바스 왕조
제23대
아바스 왕조
제24대
아바스 왕조
알 만수르알 마흐디알 하디하룬 알 라시드
제25대
아바스 왕조
제26대
아바스 왕조
제27대
아바스 왕조
제28대
아바스 왕조
알 아민알 마문알 무타심알 와시크
제29대
아바스 왕조
제30대
아바스 왕조
제31대
아바스 왕조
제32대
아바스 왕조
알 무타와킬알 문타시르알 무스타인알 무타즈
제33대
아바스 왕조
제34대
아바스 왕조
제35대
아바스 왕조
제36대
아바스 왕조
알 무흐타디알 무타미드알 무타디드알 무크타피
제37대
아바스 왕조
제38대
아바스 왕조
제39대
아바스 왕조
제40대
아바스 왕조
알 무크타디르알 카히르알 라디알 무타키
제41대
아바스 왕조
제42대
아바스 왕조
제43대
아바스 왕조
제44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탁피알 무티알 타이알 카디르
제45대
아바스 왕조
제46대
아바스 왕조
제47대
아바스 왕조
제48대
아바스 왕조
알 카임알 무크타디알 무스타지르알 무스타르시드
제49대
아바스 왕조
제50대
아바스 왕조
제51대
아바스 왕조
제52대
아바스 왕조
알 라시드알 묵타피알 무스탄지드알 무스타디
제53대
아바스 왕조
제54대
아바스 왕조
제55대
아바스 왕조
제56대
아바스 왕조
알 나시르알 자히르알 무스탄시르 1세알 무스타심
제57대
아바스 왕조
제58대
아바스 왕조
제59대
아바스 왕조
제60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탄시르 2세알 하킴 1세알 무스탁피 1세알 와시크 1세
제61대
아바스 왕조
제62대
아바스 왕조
제63대
아바스 왕조
제64대
아바스 왕조
알 하킴 2세알 무타디드 1세알 무타와킬 1세알 무스타심
제63대2
아바스 왕조
제65대
아바스 왕조
제64대2
아바스 왕조
제63대3
아바스 왕조
알 무타와킬 1세알 와시크 2세알 무스타심알 무타와킬 1세
제66대
아바스 왕조
제67대
아바스 왕조
제68대
아바스 왕조
제69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타인알 무타디드 2세알 무스탁피 2세알 카임
제70대
아바스 왕조
제71대
아바스 왕조
제72대
아바스 왕조
제73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탄지드알 무타와킬 2세알 무스탐식알 무타와킬 3세
제72대2
아바스 왕조
제73대2
아바스 왕조
제74대
오스만 왕조
제75대
오스만 왕조
알 무스탐식알 무타와킬 3세셀림 1세쉴레이만 1세
제76대
오스만 왕조
제77대
오스만 왕조
제78대
오스만 왕조
제79대
오스만 왕조
셀림 2세무라트 3세메흐메트 3세아흐메트 1세
제80대
오스만 왕조
제81대
오스만 왕조
제80대2
오스만 왕조
제82대
오스만 왕조
무스타파 1세오스만 2세무스타파 1세무라트 4세
제83대
오스만 왕조
제84대
오스만 왕조
제85대
오스만 왕조
제86대
오스만 왕조
이브라힘 1세메흐메트 4세쉴레이만 2세아흐메트 2세
제87대
오스만 왕조
제88대
오스만 왕조
제89대
오스만 왕조
제90대
오스만 왕조
무스타파 2세아흐메트 3세마흐무트 1세오스만 3세
제91대
오스만 왕조
제92대
오스만 왕조
제93대
오스만 왕조
제94대
오스만 왕조
무스타파 3세압뒬하미트 1세셀림 3세무스타파 4세
제95대
오스만 왕조
제96대
오스만 왕조
제97대
오스만 왕조
제98대
오스만 왕조
마흐무트 2세압뒬메지트 1세압뒬아지즈무라트 5세
제99대
오스만 왕조
제100대
오스만 왕조
제101대
오스만 왕조
제102대
오스만 왕조
압뒬하미트 2세메흐메트 5세메흐메트 6세압뒬메지트 2세
^^ 1 : 아부 바크르, 우마르, 우스만, 알리 등 이 4명만 정통 칼리파로 인정받지만 하산도 잠깐 동안이지만 칼리파 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포함한다.



대수이름재위기간
1대아부 바크르632년 ~ 634년
2대우마르 이븐 알하타브634년 ~ 644년
3대우스만 이븐 아판644년 ~ 656년
4대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656년 ~ 661년
5대하산 이븐 알리[9]661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2:05:25에 나무위키 정통 칼리파 시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지도에 오류가 있는데, 카스피해 남안의 북부 이란 지역은 8세기에야 아랍 무슬림 군대가 완전히 점령한다. 다부이 왕조 문서 참고[2] 라쉬둔 칼리파(الخلفاء الراشدون / al-Khulafā’u r-Rāshidūn)란 말은 아랍어정통 칼리파, 정당한 칼리파 정도의 뜻을 가지고 있다.[3]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의 뒤를 이어 칼리파에 오른 하산 이븐 알리까지 포함하면 5명이지만 하산은 1년도 안 돼서 무아위야 1세에게 항복하고 칼리파 자리까지 양도하여 보통 포함하지 않는다.[4] 이는 수니파의 주장이다. 시아파는 제4대 정통 칼리파이자 무함마드의 유일한 혈족인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만을 초대 이맘으로 인정한다.[5] 다만 문제는 이런 식으로 초기 역사에서의 칼리파 계승 방식이 안정적이지 못했던 까닭에 수니파와 시아파 모두 참 모순적인 상황을 겪어야 했는데 초기 수니파의 주장에 따르면 '굳이 무함마드의 후손이 아니라도 누구나 칼리프가 될 수 있다'(=반 세습제)이지만 정작 후대의 수니파 왕조들은 거의 대부분이 세습제였고, 파키스탄, 인도네시아,이라크처럼 공화정이 도입된 나라가 생긴것은 거의 근현대에 와서의 일이며, 시아파는 '무함마드의 후계자는 오직 알리와 그 후손만이!'(=세습제)이지만 정작 현재의 시아파는 알리의 후손과는 아무 연관이 없다. 그러다 보니 시아파 국가인 이란은 헌법에 마흐디가 강림하면 즉시 그에게 권력을 이양한다는 조항이 있다. [6] 왜냐하면 고대 중동 제국들이 대부분 봉건 기사 비슷한 제도를 전통적으로 유지하고 있어서 대다수의 물자와 자원이 소수의 중무장 귀족 기병들에게 집중되었기 때문이다. 반면 이슬람 세력은 아랍 해안가의 상업 도시들을 주축으로 성장했기에 봉건 귀족의 전통이 없었으며, 대신 도시의 시민들이 군대의 주축이었기에 중무장 기병이 아닌 보병에 많이 의존하게 되었다. 이는 고대 그리스폴리스들과 유사한 부분.[7] 중갑기병[8] 위에도 언급되었지만 이슬람 세력의 주축은 유목민이 아닌 상업 도시의 도시민들이었다.[9] 1대 아부 바크르, 2대 우마르, 3대 우스만, 4대 알리 등 이 4명만 정통 칼리파로 인정받지만 하산도 잠깐 동안 칼리파 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포함하겠다.